자동차의 구분: ICE, EV, BEV, HEV, MHEV, EREV란?

2025. 2. 6. 09:19잡학사전

자동차는 동력원과 구동 방식을 기준으로 다양한 종류로 나뉩니다. 최근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이 주목받으면서 ICE, EV, BEV 등과 같은 용어들이 자주 등장하는데요, 오늘은 이 용어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또한 추가적인 자동차 구분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자동차 구분 용어 정리

1) ICE (Internal Combustion Engine) - 내연기관차

  • 엔진 내부에서 연료(휘발유, 경유 등)를 연소시켜 동력을 얻는 차량.
  • 가장 전통적인 자동차 방식으로, 휘발유차와 디젤차가 여기에 해당.
  • 예: 일반 승용차, 경유 트럭.

2) EV (Electric Vehicle) - 전기차

  •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차량.
  • 엔진 대신 전기모터를 사용하며, 배출가스가 없음.
  • EV는 크게 BEV, HEV, PHEV 등으로 세분화됨.

3) BEV (Battery Electric Vehicle) - 배터리 전기차

  • 100% 전기로만 구동되는 차량.
  • 배터리를 충전소에서 충전하여 사용.
  • 예: 테슬라 모델 3, 현대 아이오닉 5.

4) HEV (Hybrid Electric Vehicle) - 하이브리드 전기차

  •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함께 사용하는 차량.
  • 엔진과 모터가 상황에 따라 협력하여 연료 효율을 높임.
  • 예: 토요타 프리우스.

5) 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HEV와 유사하지만, 외부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음.
  • 배터리만으로 일정 거리까지 주행 가능하며, 그 이상은 내연기관 사용.
  • 예: 기아 쏘렌토 PHEV.

6) MHEV (Mild Hybrid Electric Vehicle) - 마일드 하이브리드

  • 전기모터가 보조 역할만 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
  • 내연기관이 주요 동력원이며, 모터는 연비 개선과 출력 보조에 사용.
  • 예: 아우디 A6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7) EREV (Extended Range Electric Vehicle) - 주행거리 확장형 전기차

  • 배터리 전기차이지만, 엔진이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됨.
  • 엔진은 직접 구동하지 않고, 배터리가 방전되면 발전기 역할만 수행.
  • 예: 쉐보레 볼트.

2. 추가적인 자동차 구분

1) FCEV (Fuel Cell Electric Vehicle) - 연료전지 전기차

  •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전기차.
  • 연료전지를 통해 전기를 생성하고 이를 동력원으로 사용.
  • 예: 현대 넥쏘, 토요타 미라이.

2) CNG (Compressed Natural Gas) 차량

  • 압축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
  • 주로 버스와 대형 트럭에서 사용.

3) LPG (Liquefied Petroleum Gas) 차량

  • 액화석유가스를 사용하는 차량.
  • 한국에서는 택시나 렌터카에서 많이 사용.

4) Flex-Fuel 차량

  • 가솔린과 에탄올 같은 대체 연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차량.
  • 에탄올 비율이 높은 연료 사용 가능.

3. 결론: 자동차의 미래는 다양성

자동차는 단순히 내연기관 차량에서 시작해 전기차, 하이브리드, 연료전지차 등으로 그 종류가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각 기술은 환경과 경제성, 주행 거리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강점을 가지며, 앞으로도 계속 발전할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유형의 차량이 가장 흥미롭거나 미래에 유망하다고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