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8. 07:58ㆍ금융투자
결론을 먼저~:
SCHD에 투자하는 것과 SCHD에 커버드콜 전략을 더한 종목에 투자하는 것은 투자 목표와 위험 감수 수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추구한다면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한 ETF가 유리할 수 있지만, 기초 자산의 성장 가능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일반 SCHD ETF가 더 적합할 수 있다. 최근에는 목표 분배율을 높게 설정하거나 옵션 매도 비중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전략을 활용한 커버드콜 ETF들이 출시되고 있으므로, 투자자는 상품의 특성을 꼼꼼히 비교하여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난, SCHD와 SPY를 ISA 계좌에서 모으고, 일반 계좌에서는 NASDAQ을 추종하는 커버드콜 ETF를 모으고 있지.
커버드콜 ETF는 안정적인 월 배당을 추구하며 투자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포트폴리오 내에서 매월 현금흐름이 안정적으로 발생하면 시장 하락에 대한 손실을 어느 정도 보전할 수 있고, 월 배당 ETF에 투자하여 분배금을 성장주에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분산투자를 할 수도 있다.
커버드콜 ETF 전략의 진화:
- 1세대: 전통적인 커버드콜 전략은 기초자산 비중 전체에 대해 만기가 1개월인 콜옵션을 매월 1회 매도하는 방식이었으나, 이는 자산 가치 상승에 따른 이익을 거의 얻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 2세대: 콜옵션 매도 비중을 줄여 기초자산 상승분을 더 많이 취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지만, 콜옵션 매도 프리미엄이 줄어 분배금 역시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2세대 커버드콜 ETF는 월 단위보다 짧은 초단기 옵션을 활용하거나 기초자산의 100%를 매도했던 옵션 비중을 조정하는 전략을 사용하며, 목표 분배율을 높게 설정하고 기초자산의 상승 수혜를 더 누리려는 시도를 한다.
- 최근 동향: 최근에는 기초자산을 다양화하는 방향으로 성장하여, 한국 또는 미국의 종합 주가지수, 배당주, 성장 테마주, 장기채 등 다양한 기초자산을 활용한 상품들이 출시되고 있다1. 특히 S&P500이나 나스닥100과 같은 미국 시장대표지수를 기초로 한 커버드콜 ETF가 큰 비중을 차지하며, 성장 테마주와 같이 잠재력이 높은 자산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도 출시되고 있다.
SCHD 커버드콜 ETF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23년 6월 세계 최초로 미국 배당성장 ETF인 SCHD에 커버드콜을 결합한 ETF를 출시했다. 새로운 미국배당다우존스 커버드콜 ETF는 더 높은 분배율과 기초자산 상승률을 제공하며, 매달 15일을 분배 기준일로 설정하여 경쟁사들의 월중 분배 ETF 출시를 방어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TIGER 미국테크TOP10타겟커버드콜의 경우 옵션 매도 비중을 조정하여 연 10% 분배금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최근 1년 수익률은 43.5%로 커버드콜 ETF 중 가장 높았다.
투자 시 고려 사항:
- 기초자산과 옵션의 일치 여부
- 효율적인 옵션 매도 주기
- 기초자산의 상방 참여 여부
- 옵션 매매 시차 발생 여부
- 비용 효율적 운용 방식
'금융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곱버스 ETF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투자 가이드 (1) | 2025.02.13 |
---|---|
금 투자 - 일반인이 쉽게 할 수 있는 금 투자 방법 (0) | 2025.02.10 |
한국 증권 시장에서 주요 ETF 브랜드 비교 (1) | 2025.02.07 |
쉽게 이해하는 커버드콜(Covered Call) 전략 (0) | 2025.02.07 |
ISA, IRP, 연금계좌 세제혜택 축소 (1)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