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캣츠(Cats)’를 아는 척하고 싶다면? 이것만은 꼭 알아두자!
사람들과 문화 이야기를 나눌 때 “뮤지컬 좋아해요?”라는 질문은 자주 등장하곤 합니다. 그중에서도 유독 많은 사람들이 언급하는 대표작이 바로 '캣츠(Cats)'입니다. 하지만 정작 내용은 잘 모르겠고, 고양이 분장한 배우들만 생각난다면? 걱정 마세요. 이 글 하나로 '캣츠'에 대해 아는 척하는 건 물론이고, 진짜 팬처럼 보일 수도 있답니다.
🎭 뮤지컬 '캣츠'는 어떤 작품인가요?
뮤지컬 Cats는 1981년 영국 런던 웨스트엔드에서 초연된 앤드루 로이드 웨버(Andrew Lloyd Webber)의 작품이에요. 세계 4대 뮤지컬 중 하나로 손꼽히며, 브로드웨이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죠.
작품은 T.S. 엘리엇의 시집 *Old Possum's Book of Practical Cats(지혜로운 고양이에 관한 책)*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줄거리는 딱히 뚜렷하지 않지만,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하룻밤 동안 '젤리클 고양이'들이 모여 천국에 갈 단 한 마리의 고양이를 뽑는 이야기입니다.
🐾 '젤리클 고양이'? 그게 뭐예요?
뮤지컬 속 고양이들은 젤리클(Jellicle) 고양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요. 이들은 평범한 고양이가 아니라, 말도 하고 노래도 부르고, 춤도 추는 아주 특별한 고양이들이에요. 매년 열리는 '젤리클 볼(Jellicle Ball)'이라는 축제에서 고양이들은 각자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올해 하늘로 올라갈 고양이 한 마리를 '올드 듀터러노미'가 선택하는 것이 이 뮤지컬의 핵심이에요.
🌟 아는 척 포인트 #1: "Memory"는 캣츠의 심장이다
‘캣츠’를 대표하는 넘버(노래)가 바로 “Memory”입니다. 이 노래는 늙고 버려진 고양이 그리자벨라(Grizabella)가 부르는 곡으로, 그녀의 과거의 영광과 지금의 쓸쓸함을 담고 있죠.
✔️ 아는 척 팁: “Memory 들으면 진짜 울컥하지 않아요? 그리자벨라의 외로움이 그대로 느껴지는 곡이잖아요.”
🌟 아는 척 포인트 #2: 인간 이야기로 읽는 고양이들의 이야기
‘캣츠’는 단순히 고양이 분장을 한 배우들이 춤추는 작품이 아닙니다. 각 고양이는 인간의 다양한 성격과 삶의 단면을 상징합니다. 예를 들어,
- 럼 텀 터거(Rum Tum Tugger): 자유롭고 인기 많은 반항아, 록스타 같은 존재예요.
- 미스터 미스토펠리스(Mr. Mistoffelees): 마술을 부리는 고양이로, 자신만만하고 재능 있는 청년처럼 묘사돼요.
- 그리자벨라(Grizabella): 젊은 시절 화려한 삶을 살았지만 지금은 외면받는 인물, 즉 과거를 후회하며 살아가는 노인의 모습이에요.
✔️ 아는 척 팁: “고양이 캐릭터들에 사람 성격을 대입해서 보면 훨씬 재밌더라고요.”
🌟 아는 척 포인트 #3: 대사보다 춤과 노래가 중요한 작품
‘캣츠’는 대사가 거의 없는 작품입니다. 모든 이야기가 노래와 춤으로 표현되죠. 그래서 무용과 음악에 집중하면서 관람하는 것이 포인트예요. 이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언어 장벽 없이 사랑받기도 했어요.
✔️ 아는 척 팁: “뮤지컬보단 오히려 현대무용 공연 보는 느낌이더라. 음악이랑 안무로 스토리를 전달하는 게 신기했어.”
🎥 영화판 캣츠는...? 조심스럽게 언급하기
2019년에 개봉한 영화판 '캣츠'는 혹평을 받았어요. 실사에 CG를 덧입힌 고양이들의 모습이 불쾌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고, 원작의 감동이 사라졌다는 비판도 있었죠. 그래서 영화판은 살짝 피하거나 조심스럽게 말하는 것이 좋아요.
✔️ 아는 척 팁: “영화는 솔직히 원작 팬으로서 좀 실망이었어요. 무대에서 느껴지는 감정이 없더라고요.”
🎤 캣츠를 더 잘 즐기고 싶다면?
- 뮤지컬 넘버 몇 개는 미리 들어보는 게 좋아요. 꼭 들어봐야 할 노래는 "Memory", "Jellicle Songs for Jellicle Cats", "Mr. Mistoffelees".
- 캐릭터들의 이름은 좀 낯설 수 있지만, 익숙해지면 훨씬 재미있어요.
- 영상으로라도 런던이나 브로드웨이의 공연을 보면 현장의 감동을 느낄 수 있어요.
🐱 마무리하며: 고양이 분장만 기억하면 절반만 안 것이다
‘캣츠’를 단지 고양이 분장 뮤지컬로만 보면 절반밖에 이해 못 한 거예요. 삶의 다양성, 인간의 성격, 소외된 존재에 대한 공감 등 여러 의미가 숨어 있어요. 그런 이야기를 나누면서 “사실 나 고양이보단 그리자벨라에 더 집중하게 되더라”라고 말하면, 진짜 찐팬처럼 보일 수 있답니다.
'뉴스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법원 전원합의체란? 쉽게 이해하는 법의 최고 회의실 (0) | 2025.04.22 |
---|---|
한국에서 싱크홀이 자주 생기는 진짜 이유는? (0) | 2025.04.22 |
벤츠 S클래스 350d의 앞 디퍼런셜(Front Differential) 에서 누유 (0) | 2025.04.21 |
사마귀는 전염된다! 그냥 두면 안 되는 이유와 치료법 총정리 (0) | 2025.04.21 |
“35% 조정받은 엔비디아, 여전히 가장 매력적인 AI주” (0) | 2025.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