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1/12 아두이노 로봇 HowTo

by 소혜민 2022. 11. 4.
반응형

스텝 0. 아두이노 개발 환경

아두이노를 이용해서 자율 주행 로봇을 만든다.

아두이노 우노, 모터 두 개, 초음파 센서와 서보 모터를 이용한다. 초음파 센서로 거리를 측정하고 물체가 감지되면 방향을 바꾸어 이동을 한다.

아두이노란?

아두이노(Arduino)란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단일 보드 마이크로컨트롤러로 완성된 보드와 관련 개발 도구 및 환경을 말한다. 2005년 이탈리아의 IDII(Interaction Design Institutelvera)에서 하드웨어에 익숙지 않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디자인 작품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하려고 고안되었다고 한다. (위키백과)

 

 

아두이노를 이용해서 센서나 모터 혹은 LED 등을 제어할 수 있어 연결된 다양한 센서나 모터 등의 상호 작용을 하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 C 언어로 개발을 할 수 있고 IDE 제공한다. C 언어의 기초를 알아야 아두이노 기반의 개발을 진행 할 수 있다. 윈도우 또는 맥 환경에서 C 언어로 개발을 하고 기계어 코드로 변환된 바이너리 코드는 시리얼 통신을 통해서 컴퓨터에서 아두이노로 다운로드가 된다. 요즘의 PC는 시리얼이 없어 USB to Serial을 이용을 한다. 즉, USB 케이블을 이용해서 서로 연결은 하지만 내부에서의 통신은 시리얼 통신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아두이노의 구분은 제품에는 사용된 MCU(Micro Controller Unit)에 따라서 구분이 되며 입문용으로는 UNO가 대표적이다.

아두이노가 인기를 끌면서 초기 개발 시제품을 만들때 기업에서 많이 사용을 하기도 하며 아두이노 보드의 회로도가 Creative Common License에 의해 오픈 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나 직접 보드를 만들고 수정을 할 수 있다. 그래서 아두이노 보드로 제품을 테스트 해 보고, 실제로 제품화 할 때에는 오픈된 회로도를 수정해서 사용을 하기도 한다.

 

 

아두이노의 공식 홈페이지는 https://www.arduino.cc/이다. 구글 계정을 이용해 가입을 하면 웹에서 개발을 할 수 있는 환경 또는 크롬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을 하지만 여기서는 윈도우 PC에 직접 개발환경을 꾸며 사용한다.

웹에서 코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아두이노 사이트에 가입을 한 상태이어야 한다. 그리고 로그인을 한 상태에서 우측 상단의 계정 옆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해서 web Editor를 선택하면 된다.

 

 

웹 에디터를 선택한 이후에 몇 가지 안내를 보고 나면 다음과 같은 웹 에디터를 볼 수 있다. 여기서 직접 코드를 개발 할 수 있다고 한다. 월 별로 요금을 내면 업그레이드 된 기능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2 아두이노 로봇 HowTo  (0) 2022.11.04
#2/12 아두이노 로봇 HowTo  (0) 2022.11.04
Python obfuscation (난독화)  (0) 2022.07.05
Python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  (0) 2022.06.17
Pyside6 Custom QTextEdit  (0) 2022.05.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