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윈코드
저자 김영한|류재운
출판 넥서스BIZ
발매 2009.08.08.
기업의 경쟁원리는 애덤 스미스 보다 진화론을 주창한 찰스 다윈이 더 잘 설명해 준다라는 말로 이 책은 시작한다. 책을 펴면서의 느낌은 기업은 무한 경쟁이고 강자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전제로 서술하지 않을까하는 추측을 프롤로그를 읽으면서 해본다.
변화는 항상 처음부터 요란한 소리를 내지 않는다. 조용히 서서히 일어난다.
애플의 독창적인 저력의 모방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아이폰 다음의 제품이 무엇일지 궁금하게 만든다.
맥켄지의 보고서에 따르면 시장에 신상품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이를 먼저 선 보인 기업은 6개월 늦은 후발주자보다 판매량에서 8배 앞서게되며 후발주자가 처음 계획보다 자금을 50% 추가 투입한다 하더라도 그 차이를 따라잡기 어렵다고 한다
서커스단의 점보 코끼리는 공연이 없을때 작은 말뚝에 묶여 있다고 하는데 충분히 말뚝을 뽑을 수 있음에도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것은 말뚝을 뽑을 수 없을 시절부터 묶여 있었고 어릴때의 시도가 실패했었기 때문에 성체가 되어서는 시도하지조차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 기업들에도 이런 조직 문화가 남아있지는 않을까?
기업은 유기체라고한다. 그만큼 기업은 비즈니스 환경이 유기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는 의미일 것으로 상황에 맞게 동물들이 진화하듯이 현재에 안주해서는 급변하는 기술 트랜드에 적당하게 대응이 될 수 있는 유연함이 필요하다 하겠다
반응형
'오늘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자전쟁 (0) | 2020.11.11 |
---|---|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70가지 (0) | 2020.11.11 |
행복 4.0 (0) | 2020.11.11 |
바보가 바보들에게 : 두 번째 이야기 (0) | 2020.11.10 |
인플레이션 (0) | 2020.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