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출장을 준비하면서 “아시아나 비행기로 빠른 걸로 끊어 주세요”라고 했는데, 막상 받은 항공권에는 에바항공(EVA Air)이라고 적혀 있다면, 당황하셨을 수도 있어요.
“내가 분명 아시아나 타고 싶다고 했는데 왜 다른 항공사지?”
이럴 때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코드쉐어(Code Share)’입니다. 오늘은 이 코드쉐어가 무엇인지, 마일리지는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서비스는 어떤지를 쉽게 알려드릴게요.
✈️ 코드쉐어(Code Share)란?
코드쉐어는 두 항공사가 좌석을 공유해서 파는 방식이에요.
예를 들어, 아시아나항공과 에바항공이 코드쉐어를 맺고 있다면, 에바항공이 실제로 운항하는 비행기 좌석을 아시아나가 대신 팔 수 있는 거죠.
그래서 항공권에는 '아시아나 OZxxxx'라고 써 있지만, 공항에서 타는 비행기는 에바항공 비행기일 수 있어요.
🎯 왜 코드쉐어를 사용할까?
- 노선 확대: 항공사 입장에서는 직접 운항하지 않아도 전 세계 다양한 노선을 제공할 수 있어요.
- 편리함: 고객 입장에서는 원하는 항공사 마일리지와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더 많은 노선을 이용할 수 있죠.
- 제휴 혜택: 대부분 같은 항공동맹(예: 스타얼라이언스)에 속해 있어서 혜택도 공유돼요.
💳 마일리지는 어디로 쌓이나?
좋은 소식은!
코드쉐어 항공편이라도 제휴된 항공사라면 마일리지가 쌓입니다.
예를 들어, 아시아나 마일리지를 모으고 있다면, 에바항공 비행기를 탔더라도 아시아나 회원번호를 넣으면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어요.
단, 아래 두 가지는 꼭 체크하세요:
- 좌석 클래스에 따라 적립률이 다를 수 있어요. (예: 할인 항공권은 적립률이 낮거나 0%)
- 사전에 마일리지 프로그램을 선택해서 입력해두는 게 좋아요.
🍱 기내 서비스는 어떤 항공사 기준?
실제로 운항하는 항공사의 서비스를 받습니다.
즉, 탑승 승무원, 기내식, 좌석, 영화 등 모든 서비스는 에바항공 기준이 돼요.
“아시아나라니까 김치 나올 줄 알았는데 왜 대만식 밥이지?”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죠 😄
🧳 수하물은 어디 기준?
수하물 규정도 실제 운항 항공사 기준이 적용돼요.
그래서 티켓에는 아시아나라고 되어 있어도, 에바항공의 수하물 허용량을 따르게 됩니다.
이 부분은 출발 전에 꼭 확인하는 게 좋아요!
✅ 정리하면!

✍️ 마무리
다음에 항공권을 예매할 때, 항공사 이름만 보고 방심하지 말고 ‘운항 항공사’도 꼭 확인해보세요!
특히 출장처럼 짧고 바쁜 일정일수록 기내 서비스나 도착 공항, 마일리지 적립 등을 꼼꼼히 따지는 것이 좋답니다.
'뉴스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재석의 기부, 그 훈훈함이 주는 위로 (0) | 2025.03.25 |
---|---|
📱iOS 19, 뭐가 그렇게 달라진다고? iPhone이 새 옷을 입어요 (0) | 2025.03.25 |
한덕수 총리 탄핵 기각, 윤석열 대통령 탄핵론에 제동 걸리나? (0) | 2025.03.24 |
20년째 밤마다 먹는다? 자다가 먹는 습관, 당신 건강을 망치는 진짜 이유! (0) | 2025.03.24 |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 선고, 한국 정치의 중대한 분기점 (0) | 2025.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