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ChatGPT 회사에서 못 쓴다고? 사내 전용 AI 코딩 도우미 구축법!

by 소혜민 2025. 4. 4.
반응형

회사에서 ChatGPT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보안과 생산성을 동시에 잡는 법

요즘 많은 개발자들이 ChatGPT나 GitHub Copilot 같은 AI 코딩 도구를 사용해서 코드를 더 빠르게 작성하고, 실수를 줄이며, 복잡한 문제를 쉽게 해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회사에서는 이런 도구들을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이유는 바로 보안 때문입니다.

기업이 걱정하는 핵심: 소스코드 유출

기업에서 가장 많이 걱정하는 부분은 내부 소스코드나 기밀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입니다. ChatGPT처럼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AI 도구는 우리가 입력한 코드나 설명을 외부 서버로 전송해서 분석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중요한 정보가 외부로 나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대기업과 공공기관에서는 이러한 이유로 ChatGPT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개발자 입장에서는 불편하지만, 회사 입장에서는 당연한 조치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도구들을 아예 포기해야 할까요?

대안은 ‘사내 전용 AI’ 구축

ChatGPT와 같은 AI의 장점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보안을 지키려면, 방법은 하나입니다. 바로 사내에 AI 코딩 도우미를 직접 구축하는 것입니다. 마치 회사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프라이빗 ChatGPT’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몇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1. 오픈소스 LLM(대형 언어 모델) 활용하기

ChatGPT는 오픈AI의 상용 모델이기 때문에 회사 내부에 직접 설치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오픈소스 LLM이 등장하고 있어서 이를 활용하면 됩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LLaMA 2 (Meta)
  • Mistral (Lightweight하고 빠름)
  • Codellama (코딩에 특화된 모델)
  • StarCoder (HuggingFace에서 제공)
  • Phi 2 / 3 (Microsoft의 경량 모델)

이런 모델들은 GPU 서버에 설치해서 로컬 환경에서만 동작하도록 만들 수 있고, 소스코드를 외부로 보내지 않기 때문에 보안 이슈도 없습니다.


2. 사내 인프라에 맞는 환경 구축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하려면 기본적으로는 GPU 서버나 A100과 같은 고성능 그래픽카드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경량화된 모델도 많아서 일반적인 서버 환경에서도 충분히 실행 가능합니다.

사내 클라우드나 프라이빗 서버에 HuggingFace Transformers나 LangChain과 같은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서, 내부 전용 코드 어시스턴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에 VS Code 플러그인 형태로 연결하면 개발자들이 IDE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3. 모델을 회사에 맞게 파인튜닝(미세조정)

오픈소스 모델은 일반적인 지식이나 코드에는 강하지만, 회사 고유의 라이브러리나 코드 스타일에는 약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사내 코드베이스를 기반으로 모델을 파인튜닝하거나, RAG(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기술을 이용해 사내 문서를 검색해 답변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API 문서를 벡터로 변환해서 모델이 참고하도록 하면, "우리 회사 로그인 API 어떻게 써?" 같은 질문도 정확히 답변해줍니다.


4. 접근 제어와 감사 로그 설정

사내에서 AI 도구를 도입할 때는 접근 제어로그 기록도 필수입니다. 누가 언제 어떤 질문을 했고, 어떤 코드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어야 보안 사고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SSO(Single Sign-On)이나 LDAP 연동으로 사내 인증 체계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5. SaaS 기반 프라이빗 Copilot 서비스 고려

직접 구축하는 게 부담스럽다면, 일부 SaaS 업체들이 제공하는 기업 전용 Copilot 서비스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Microsoft Copilot for Azure, Amazon CodeWhisperer (Enterprise), GitHub Copilot for Business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들은 기업 고객을 위해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거나, 모델 학습에 사용하지 않으며, EU GDPR이나 SOC2 같은 보안 기준을 준수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이런 SaaS 서비스는 직접 구축보다 빠르게 도입할 수 있고, 유지보수 부담도 적습니다.


결론: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있다

ChatGPT나 AI 도구는 단순히 코드를 자동으로 써주는 것이 아니라, 개발자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켜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보안을 걱정하는 회사 입장에서는 이를 무작정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고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픈소스 LLM을 활용해 사내 전용 AI 코딩 도우미를 만들거나, 보안이 강화된 기업용 AI 서비스를 활용하면 됩니다. 중요한 것은 보안과 생산성의 균형을 맞추는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