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트랙, 최민정 그리고 김길리
2025. 2. 9. 11:44ㆍ잡학사전
대한민국 쇼트트랙의 역사는 1983년 국내에 도입되면서 시작되었으며, 그 해 일본에서 열린 제3회 세계남녀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선수권대회에 김관규, 최성윤 등 스피드스케이팅 선수들이 처음으로 출전했다. 대한민국은 쇼트트랙 도입 5년 만인 1988년 캘거리 동계올림픽에서 김기훈과 이준호가 각각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듬해 김기훈은 세계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선수권대회 1,0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상위권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초창기 (1980년대): 한국은 1983년 일본에서 개최된 세계선수권대회에 처음으로 남녀 선수 1명씩을 파견했다. 1985년, 태릉선수촌 내 실내 수영장을 빙상경기장으로 개조하면서 쇼트트랙 국가대표팀이 결성되어 본격적인 훈련이 시작되었다.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에서의 성장 (1986년-1992년): 1986년 삿포로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유부원 선수가 은메달 2개를 획득하며 종합 2위를 차지했다.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에서는 김기훈과 이준호가 금메달을 획득하며 동계올림픽 첫 금메달을 기록했다. 1990년에는 이준호가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대회에서 개인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1992년 제16회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쇼트트랙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은 남자 5000m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지배적인 입지 (1992년 이후): 한국은 1992년 알베르빌부터 2006년 토리노 올림픽까지 금메달 17개, 은메달 7개, 동메달 5개를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동계 올림픽에서 총 31개의 금메달 중 24개를 쇼트트랙에서 획득했을 정도로 강세를 보였다.
최근의 도전과 변화: 최근 쇼트트랙 대표팀은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2022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편파 판정 논란이 있었으며, 대표팀 내의 문제와 감독 부재 등으로 인해 예년과 다른 상황을 겪고 있다.
특히 내가 관심을 두고 있는 선수는 최민정이고, 그 다음은 김길리이다. 폭발적인 스피드에 따른 추월을 보고 있노라면 대단하다는 말 밖에 안나온다.
최민정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최민정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기록은 2분 24초 948이다. 이 금메달은 평창올림픽에서 한국 여자 선수단의 첫 금메달이었다.
- 500m 결승에서는 실격 판정을 받았다.
- 여자 3,000m 계주 결승에 진출하여 2관왕에 도전했다.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 최민정은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한국 여자 선수 최초로 쇼트트랙 500m에서 우승했다. 결승에서 43초016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 혼성 2,000m 계주에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 2관왕에 올랐다.
- 여자 1,500m 결승에서는 김길리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게임 여자 1,500m 금메달리스트로서, 하얼빈 대회에서 6연패를 노렸으나 달성하지 못했다.
- 2023-2024 시즌에는 휴식과 재정비를 위해 국가대표 선발전을 포기했으나, 이후 복귀했다.
김길리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 김길리는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쇼트트랙 여자 1,500m에서 2분 23초 781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 혼성 2,000m 계주에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 한국 선수단 첫 2관왕이 되었다.
- 여자 500m에서는 최민정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결승에서 43초105를 기록했다.
- 김길리는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를 획득했다.
- 지난 시즌 크리스털 글로브의 주인공이다.
최민정, 김길리 선수 관련 기록:
- 최민정과 김길리는 2024-2025 ISU 쇼트트랙 월드투어 4차 대회 혼성 계주 20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쇼트트랙 여자 500m에서 최민정, 김길리, 이소연이 금, 은, 동메달을 싹쓸이했다.
반응형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일에 미역국을 먹는 이유와 유래 (0) | 2025.02.09 |
---|---|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쇼트트랙 선수 김아랑 (0) | 2025.02.09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의 주요 쟁점 (0) | 2025.02.08 |
골프 클럽 샤프트 길이와 비거리의 관계: 유틸리티 클럽을 중심으로 (0) | 2025.02.08 |
지속되는 두통, 왜 그럴까? 원인과 해결 방법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