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이너스 금리시대
저자 임승규|문홍철
출판 리오북스
발매 2016.03.30.
마이너스 금리는 중앙 은행과 일반 은행간의 지급준비금 이상의 현금에 대해서만 마이너스 금리가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직까지는 아니지만 정말 마이너스 금리가 우리나라에도 도입 될 날이 그리 멀지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어쨌거나 마이너스 금리는 경제를 살리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그런데 말이다. 마이너스 금리는 자본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정책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물론 금리를 내리다가 침체에 빠진 경제를 살리고자 금리가 마이너스로 이동되는 것이지만 돈을 맡기는데 이자가 아니라 비용을 내야된다는 것은 자본주의와는 전혀 맞지 않는 것이다.
마이너스 금리를 초래한 것이 금융위기라고 본다면 성장이 정체되기 시작하기 이전인 1997년까지는 신흥국의 부채가 문제가 되었었다면 2008년의 금융위기는 개인의 대출에서 기인했다.
영화 빅쇼트는 2008년 미국과 유럽의 부동산 버블이 붕괴하기전에 이미 조짐을 알아챈 금융인들 이야기란다. 찾아서 봐야겠다.
반응형
'오늘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툭 까놓고 재벌 (0) | 2020.11.10 |
---|---|
아버지의 시말서 (0) | 2020.11.10 |
나는 왜 중국을 공부하는가 (0) | 2020.11.10 |
말주변이 없어도 대화 잘하는 법 (0) | 2020.11.10 |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 (0) | 2020.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