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명견만리
저자 KBS 명견만리 제작팀
출판 인플루엔셜
발매 2017.06.05.
민주주의 사회에서 갈등은 자연스러우며 건강한 현상이다. 가정, 학교, 직장에서 우리가 맺는 모든 관계속에 갈등이 있다. 인간은 숱한 갈등을 동력삼아 사회를 발전시켜왔다. 갈등은 발전의 성장통인 셈이다. 물론 갈등 관리를 잘한다는 전제하에 말이다. 삼성 경제 연구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인당 GDP의 27%에 달하는 비용을 갈등비용으로 지출을 한다. 이는 모든 국민이 1인당 900만원을 1년에 지출한다는 의미이다.
대부분의 국가가 간접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있다. 전체가 참여했었던 광장정치가 불가능했었지만 이제는 IT 기술을 통해서 직접민주정치를 구현해보면 어떨까 싶다.
1998년에는 부모 부양의 책임이 가족에게 있다는 응답이 89.9% 정도 였으나 2014년에는 31%대이고 가족과 사회에 책임이 있다는 비율이 47%였다. 그리고 부모 자신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대답한 비율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로 이른바 셀프 부양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대한민국 골목이 자영업자들의 무덤이 된 것은 과다경쟁 뿐만은 아니다. 조물주 위의 건물주라는 말처럼 임대료가 크게 한 몫을 하고 있다.
미래학자 엘빈토플러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 "한국 학생들은 미래에 필요하지 않은 지식과 존재하지 않을 직업을 위해 매일 열 다섯 시간씩 낭비하고 있다"라고 했다.
반응형
'오늘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인생 우화 (0) | 2020.11.12 |
---|---|
(★5) 기적을 이룬 나라 기쁨을 잃은 나라 (0) | 2020.11.12 |
직장이 없는 시대가 온다 (0) | 2020.11.12 |
(★3) 명견만리 : 불평등, 병리, 금융, 지역편 (0) | 2020.11.12 |
똑똑한 사람들의 멍청한 선택 (0) | 2020.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