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꾼 길들임의 역사
저자 앨리스 로버츠
출판 푸른숲
발매 2019.12.17.
인류의 역사는 길들임의 역사라고 말하는 생물인류학자이자 해부학자인 저자 앨리스 로버츠가 인간을 포함한 10개의 종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 기존에 알고 있었던 또는 알지 못했었던 10개의 종에 대한 인간의 길들임 혹은 그들에 의해서 인간이 길들여지는 과정을 이야기 한다. 과거와 달리 DNA 분석을 통해서 각 종에 대한 역사와 생물학적 변화를 이야기 하는 것이 새로왔고 인간이 먹었던 작물을 발굴 유골의 치아 치석에서 찾아낼 수 있었다는 사실에서는 크게 놀랐다. 다만, 사실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너무 길고 긴 예나 경험들을 늘어 놓는 경향이 있어 지루하게 느껴지는 부분이 꽤나 많았다.
10개의 종 중 그 첫번째는 개인데 인간과 가깝게 접촉해 동맹을 맺음으로써 변화를 겪은 동식물들 가운데 아마도 개가 우리의 가장 오래된 친구일 것이라고 한다. 개는 인류가 농작을 시작한 신석기 시대에 이르러 인류와 가까워졌을 것이라는 것이 정설이었으나 연구에 의하면 아득한 구석기시대, 인류가 정착하기 직전 유목생활을 할 때, 인류와 친구가 된 것이라고 하며 이는 약 4만년 전이다. 회색늑대가 가축화 되면서 계속적인 늑대와의 교잡이 계속 되었다.
오록스의 후손 소, 사람이 아닌 동물의 젖을 먹는 다는 것을 우리는 당연한 듯 생활하지만 언제부터였을까는 생각해 보지 않았던 것 같다. 특히 소의 젖은 말이다. 동물의 젖에서만 발견되는 베타-락토글로불린은 인간의 젖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유청 단백질로 고대 인간의 화석의 이빨에서 찾아 낼 수 있었고 이는 기원전 3000년 전이라고 한다. 더 나아가 토기에서 찾아낸 근거에 따르면 기원전 9000년 전까지 올라가게 된다.
대부분이 아시아 또는 유럽에서 아메리카로 이동을 한 것에 반해서 옥수수는 콜롬보스에 의해서 담배와 같이 아메리카에서 유럽으로 전파되었고 콜롬보스에 의해서는 아니지만 감자 역시 같은 경로를 거쳐 유럽의 인구 증가에 한 몫 했다.
우리의 주식인 쌀은 아시아에서 유래한 것으로 약 1만년 전이라고 한다. 그런데 책에서도 나와있긴 하지만 어떻게 쌀을 경작하게 되었는지는 미지수인 것 같다. 기후의 영향 때문이라는 분석을 책에서는 하고 있지만 감자 고구마와 달리 쌀은 작은 낱알들을 말려서 도정을 해야만 비로서 사람이 먹을 수 있는데 그 옛날 우리 선조들은 어떻게 쌀을 경작하게 되었는지는 의문이다.
유라시아와 아메리카에는 각각 말들이 있었으나 아메리카에서는 멸종되고 유라시아에 있던 말들이 다시 아메리카로 옮겨갔다고 한다.
'오늘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절대 고독 (0) | 2020.11.21 |
---|---|
(★5) 제자백가 인간을 말하다 (0) | 2020.11.21 |
(★5) 평양, 제가 한번 가보겠습니다 (0) | 2020.11.21 |
(★5) 돈 버는 법 (0) | 2020.11.20 |
(★3) 나는 세포마켓에서 답을 찾았다 (0) | 2020.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