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융위기2

(★4) 이것이 공매도다 이것이 공매도다 저자 이관휘 출판 21세기북스 발매 2019.08.29. 최근들어 금지했던 공매도를 푼다고 하니 말들이 많았다. 주가하락의 단초가 된다고 했다. 공매도를 어렴풋이 알고 있었는데 이 기회에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고 싶었다. ​ 공매도는 단어의 뜻 그대로 없는 주식을 파는 것이다. 주가가 내려간다고 예상할 때 주식을 빌려서 팔고 일정 기간 내에 떨어진 주식을 다시사서 그 차액만큼의 이익을 보는 것을 말하며 이때 주식을 빌려준 사람은 빌려준 대가로 비용을 받고 때가 맞으면 배당금도 받을 수 있는 것이 우리나라에서 행하고 있는 공매도로 차입공매도라고 한다. 즉 주식을 꼭 빌려서 거래를 해야하는 것이다. 공매도라는 단어의 뜻과는 거리가 있고 단어 뜻 그대로의 공매도는 무차입공매도이며 이는 우리나라에.. 2020. 11. 23.
마이너스 금리시대 마이너스 금리시대 저자 임승규|문홍철 출판 리오북스 발매 2016.03.30. 마이너스 금리는 중앙 은행과 일반 은행간의 지급준비금 이상의 현금에 대해서만 마이너스 금리가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직까지는 아니지만 정말 마이너스 금리가 우리나라에도 도입 될 날이 그리 멀지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어쨌거나 마이너스 금리는 경제를 살리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그런데 말이다. 마이너스 금리는 자본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정책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물론 금리를 내리다가 침체에 빠진 경제를 살리고자 금리가 마이너스로 이동되는 것이지만 돈을 맡기는데 이자가 아니라 비용을 내야된다는 것은 자본주의와는 전혀 맞지 않는 것이다. ​ 마이너스 금리를 초래한 것이 금융위기라고 본다면 성장이 정체되기 시작하기 이전.. 2020. 1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