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 읽은 책

(★4) 의사가 뭐라고

by 소혜민 2020. 11. 17.
반응형

 

 

의사가 뭐라고

저자 곽경훈

출판 에이도스

발매 2018.11.11.

소위 말하는 서울 5대 병원도 아니고 지방의 응급의학과 의사의 에세이다.  

많이 아픈 분들은 소위 대형 병원을 선호하고 큰 병원을 가보면 전국 각지에서 진료를 받기 위해 치료를 받기 위해 모여든 사람을 볼 수 있다.

이 책에서 얼핏 보이는 조금은 불편한 사실은 서울의 큰 병원들에 비해서 지방 병원들이 홀대 아닌 홀대가 가끔 발생하는 것처럼 비춰진다는 것이 아쉽다.

어릴적 꿈이 의사는 아니었지만 의학드라마는 꼭 챙겨볼 만큼 관심이 많이 가는 분야이다.  의학드라마에서 보여주는 진한 감동보다도 실제 응급의학과에서는 더 많은 감동이 있을 것이고 많은 사람이 촌각을 다투는 증상으로 방문을 할 것이기 때문에 정말 별의별 일들이 발생할 것을 어렵지 않게 유추해 볼 수 있다.

더불어 소위 갑질을 시작으로 사람같지 않은 사람들을 일일이 응대해야하는 병원 관계자들의 노고도 클 것이다.

애를 셋 키우다보니 다른 사람들에 비해 애들을 안고 응급실로 다녔던 기억이 많을 것 같다.  환자로서가 아니라 보호자로서 애들 뿐만 아니라 집사람을 119 응급차로 응급실까지 간 상황도 있었다.  항상 피곤에 찌들어있는 의사들과 간호사를 비롯한 관계자들을 보면서 입 밖으로 소리내서 말을 하진 못했지만 마음 속으로는 고마운 마음을 보냈다.  응급실에서 아픈 내 가족을 빨리 봐 주지 않았을 때는 원망의 마음도 컸지만, 해외에서 몇 년 살면서 다녔던 말도 제대로 통하지 않는 병원, 죽기 일보직전이 아니면 의사를 만나기까지 3시간은 기본으로 기다려 본 사람이라면 한국에 사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지 알기에 …

한편 많은 응급환자들을 그들의 보호자들과 함께 대해야 하는 의사에게는 침착함,  당당함이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봤다. 처음 응급실을 갔었던 날, 두 번이나 서로 다른 대형 병원의 응급실을 갔었다.  첫 응급실에서는 원인을 아얘 찾지도 못했고 진통제만을 맞았을 뿐이었고 퇴원을 할 때는 원인은 찾지도 못했으면서 아프면 다시 오라는 얘기만 들었다.  대 여섯시간 후에 다시 통증이 시작되서 찾아간 병원서는 명료했던 기억이 있다. 첫 병원에서는 내 담당의가 자신감도 당당함도 없었다. 검사가 필요하면 오더를 내고 검사를 진행했음 되는데 나한테 이런 검사를 받아보시겠습니까라고 물으면 비 전문가인 내가 뭐라고 얘길했어야 할까?

반응형

댓글